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8
어제:
783
전체:
770,098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739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812
123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24
122 鷄 肋 이규 2014.05.15 1815
121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18
120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765
11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0
118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895
11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17
116 娑 魚 셀라비 2014.06.03 1841
11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59
114 華 燭 셀라비 2014.06.08 1759
113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815
112 凱 旋 yikyoo 2014.06.11 1736
111 喜 悲 셀라비 2014.06.12 1746
110 淸 貧 yikyoo 2014.06.15 2017
109 富 貴 셀라비 2014.06.16 1926
108 回 甲 셀라비 2014.06.19 1965
107 濫 觴 셀라비 2014.06.20 1839
106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993
1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