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3
어제:
1,101
전체:
763,516

우리말 수작(酬酌)

2017.07.12 16:51

leekyoo 조회 수:4600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유(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유(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술 주’(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수작(酬酌)이란 ‘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수작(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 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외치며 마신다. 잔을 돌리지 않는다. 수작(酬酌)은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마시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주문화다. 

옛날에는 주막에서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 통성명을 하고 알게 되었다. 그래서 ‘수작을 건다’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말이 요즘은 좀 불순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수작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여기다 ‘설익다 또는 좋은 게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두사 ‘개’자를 붙여 ‘개수작한다.’ 또는 비하의 뜻이 담긴 접미사 ‘질’을 붙여 ‘수작질’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허튼 수작마시고 술이나 마시셔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22
30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24
302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25
301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625
300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26
299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28
298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31
297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31
296 華 燭 셀라비 2014.06.08 1633
295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634
294 鳳 凰 이규 2013.06.22 1637
293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638
292 喜 悲 셀라비 2014.06.12 1639
291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41
290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41
289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647
288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48
287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48
286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50
285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