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5
어제:
1,186
전체:
764,774

나무닭 이야기 - 장자

2015.08.05 12:54

홍석균 조회 수:3181


나무닭 이야기는 본래 노자가 말한 부쟁(不爭)의 德 

싸움을 좋아하는 닭이 공부를 하고 수양을 쌓아나가 나중에는 몸을 전혀 움직이지 않는 나무닭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느 나라에 닭싸움을 매우 즐기는 임금이 있었습니다.
이 임금이 싸움닭을 잘 기르기로 유명한 기성자에게 명하여 닭 한 마리를 기르게 했습니다.

임금은 열흘이 지나기도 전에 이 닭이 싸우는 모습을 보고 싶었습니다.

 

"어떤가?

아직 멀었는가? "


"아직 멀었습니다.

이 닭은 지금 허세를 부리며 제 기운만 믿고 있습니다."

 

그 후 열흘이 지나 다시 임금이 물었습니다.


"그래, 이제는 싸움을 시켜도 되겠는가?"


"아직 안되옵니다.

이 닭은 아직 상대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모습을 보고 나면 당장 덤벼 들려고 합니다."

 

열흘이 지나 임금이 다시 물었습니다.


"이번에는 어떤가?"


"아직 안되옵니다.

이 닭은 상대가 달려들면 증오의 눈빛으로 노려보며 대항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시 열흘이 지나 임금이 물었습니다.

그 때서야 기성자는 닭이 싸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제 됐습니다.

이제는 상대가 울어도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임금이 닭을 자세히 살펴보니 닭은 마치 나무로 깍아놓은 듯 조금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바로 나무닭이 된 것입니다.

나무닭이 되었으므로 다른 닭이 덤벼들어도 대항하는 일이 없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노자는 "다투지 않으므로 천하에 그와 다툴 수 있는 자가 없다. (노장 22장)"라고 했습니다.
나무닭 이야기는 그 뜻을 일러주기 위한 것입니다.
처음에 자신의 기운을 믿고 설치던 닭이 상대에게 반응하던 단계를 거쳐 상대를 노려보다가 마지막에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소박한 모습으로 돌아오고서야 비로서 기성자가 싸움닭으로 인정을 하게

되었다는 점은 수양의 단계에서 보면 '조탁복박'과 비슷하다고 하겠습니다. 

 

 

조탁복박(彫琢復朴)
새기고 쪼아 본래의 소박함으로 돌아간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1660
1984 뇌과학이 밝힌 행운을 부르는 습관 leekyoo 2015.08.03 3023
1983 당신의 가장 소중한 재산은 leekyoo 2015.08.04 2953
1982 남 탓이 아닌 내 몫이라고 생각한다 leekyoo 2015.08.05 3290
» 나무닭 이야기 - 장자 [1] 홍석균 2015.08.05 3181
1980 오늘 배우기를 멈추면, 내일 지도력을 잃게 된다 leekyoo 2015.08.06 3214
1979 나는 비판 듣기를 정말 좋아한다 leekyoo 2015.08.07 3873
1978 상호성의 원칙 - 먼저 주면 더 크게 돌아온다 leekyoo 2015.08.10 2705
1977 인간은 배우기를 원한다 leekyoo 2015.08.11 3152
1976 직선으로 달려가지 마라 leekyoo 2015.08.12 2974
1975 열망에는 아픔이 따른다 leekyoo 2015.08.13 3195
1974 봉황열반(鳳凰涅槃), 불속의 고통을 견디고 새로 태어난다 leekyoo 2015.08.17 2503
1973 스스로 반성하는 사람은 모든 일을 약으로 만든다 leekyoo 2015.08.18 3119
1972 세 번 성공하면 한번은 실패하라 leekyoo 2015.08.19 3035
1971 어제의 나를 버릴 줄 아는 사람 leekyoo 2015.08.20 2692
1970 들은 말은 금방 잊지만, 느낌은 항상 기억한다 leekyoo 2015.08.21 2961
1969 지금 이 순간 보다 더 좋은 때는 없다 leekyoo 2015.08.24 2771
1968 곤경은 아무 때나 찾아오지 않는 소중한 체험의 기회다 leekyoo 2015.08.25 2687
1967 사랑과 돈 보다 더 바라는 두 가지 leekyoo 2015.08.26 2964
1966 결핍을 즐겨라 leekyoo 2015.08.27 2902
1965 쓴 소리가 조직을 살린다 leekyoo 2015.08.28 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