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92
어제:
257
전체:
762,494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093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13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382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07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714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64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31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375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339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14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07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550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62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70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327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581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366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318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784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391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