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69
어제:
1,186
전체:
764,658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164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傾盆 셀라비 2013.01.31 1088
83 解體 이규 2013.01.31 1093
82 飜覆 이규 2013.01.29 1315
81 食言 lkplk 2013.01.29 1120
80 赦免 [1] 이규 2013.01.27 1339
79 波紋 이규 2013.01.27 1356
78 香肉 이규 2013.01.25 1081
77 汚染 이규 2013.01.24 1207
76 納凉 이규 2013.01.23 1111
75 變姓名 이규 2013.01.22 1158
7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20
73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75
72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40
71 出師表 이규 2013.01.18 1142
70 左遷 이규 2013.01.17 1145
69 伯仲勢 이규 2013.01.16 1105
68 籠絡 이규 2013.01.15 1082
67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87
66 崩壞 이규 2013.01.13 1142
65 葡萄 이규 2013.01.09 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