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6
어제:
306
전체:
766,224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213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食言 lkplk 2013.01.29 1156
403 飜覆 이규 2013.01.29 1355
402 解體 이규 2013.01.31 1122
401 傾盆 셀라비 2013.01.31 1122
400 所聞 이규 2013.02.01 1571
399 刑罰 이규 2013.02.01 1598
398 洪水 이규 2013.02.02 1449
397 園頭幕 이규 2013.02.02 1422
396 菽麥 이규 2013.02.02 1578
395 秋毫 이규 2013.02.03 1441
394 長蛇陣 이규 2013.02.03 1606
393 秋霜 이규 2013.02.04 1597
392 師表 이규 2013.02.04 1661
391 寸志 이규 2013.02.06 1392
390 風塵 이규 2013.02.06 1813
389 名分 이규 2013.02.11 1562
388 獅子喉 이규 2013.02.12 1649
387 瓦斯 이규 2013.02.12 1581
386 杜鵑花 이규 2013.02.13 1800
385 膺懲 이규 2013.02.18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