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6
어제:
289
전체:
769,343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254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802
123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05
122 鷄 肋 이규 2014.05.15 1796
121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03
120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755
11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32
118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880
11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06
116 娑 魚 셀라비 2014.06.03 1829
11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41
114 華 燭 셀라비 2014.06.08 1746
113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800
112 凱 旋 yikyoo 2014.06.11 1726
111 喜 悲 셀라비 2014.06.12 1733
110 淸 貧 yikyoo 2014.06.15 2007
109 富 貴 셀라비 2014.06.16 1908
108 回 甲 셀라비 2014.06.19 1949
107 濫 觴 셀라비 2014.06.20 1827
106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969
1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