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8
어제:
257
전체:
762,470

우리말

2015.04.02 20:24

셀라비 조회 수:2084


본뜻:''은 칼을 뜻하는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려말까지 ''''는 화폐를

의미하는 뜻으로 나란히 쓰였고, 소리도 ''''으로 같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한글이

창제된 후 ''으로 통일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설로는 고려 시대에 ''가 무게의 단위 '돈쭝'으로 변용 되어 ''''으로

와전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밖에도 ''''에서 나온 것으로, 그 의미는 사회 정책상의 훈계가 포함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은 한 사람이 많이 가지게 되면 칼의 화를 입기 때문에 그것을 훈계하기

위해 ''''라 하고 그것을 ''으로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고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명도전 같은 화폐가 칼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학설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무튼 위의 세 학설 모두 ''이란 것이 쓰기에 따라서 사물을 자르고 재단하는 ''처럼

유용한 것인가 하면 생명을 죽이거나 상처 내는 ''처럼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는 공통된 전언을

담고 있다


바뀐 뜻:상품 교환의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로

사용하거나, 재산 축적의 지표로 삼기 위하여 금속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사회에 유통되는

물건을 가리킨다


"보기글"

-돈이 많다고 해서 함부로 쓰다간 반드시 돈 때문에 우는 일이 생길 것이야

-돈 나고 사람 났냐? 사람 나고 돈 났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發祥地 이규 2013.10.20 1932
383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32
382 至孝 이규 2012.10.29 1927
38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26
380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26
37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15
378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14
377 快 擧 이규 2013.07.21 1914
376 賞 春 이규 2013.08.15 1912
37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06
3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05
37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01
372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899
371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895
37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891
36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891
368 沐浴 [1] 이규 2013.04.08 1890
367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888
366 奇蹟 이규 2012.12.06 1880
365 執牛耳 이규 2013.11.15 1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