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09
어제:
1,101
전체:
763,412

우리말

2015.04.02 20:24

셀라비 조회 수:2116


본뜻:''은 칼을 뜻하는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려말까지 ''''는 화폐를

의미하는 뜻으로 나란히 쓰였고, 소리도 ''''으로 같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한글이

창제된 후 ''으로 통일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설로는 고려 시대에 ''가 무게의 단위 '돈쭝'으로 변용 되어 ''''으로

와전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밖에도 ''''에서 나온 것으로, 그 의미는 사회 정책상의 훈계가 포함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은 한 사람이 많이 가지게 되면 칼의 화를 입기 때문에 그것을 훈계하기

위해 ''''라 하고 그것을 ''으로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고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명도전 같은 화폐가 칼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학설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무튼 위의 세 학설 모두 ''이란 것이 쓰기에 따라서 사물을 자르고 재단하는 ''처럼

유용한 것인가 하면 생명을 죽이거나 상처 내는 ''처럼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는 공통된 전언을

담고 있다


바뀐 뜻:상품 교환의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로

사용하거나, 재산 축적의 지표로 삼기 위하여 금속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사회에 유통되는

물건을 가리킨다


"보기글"

-돈이 많다고 해서 함부로 쓰다간 반드시 돈 때문에 우는 일이 생길 것이야

-돈 나고 사람 났냐? 사람 나고 돈 났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73
383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73
382 討 伐 이규 2013.03.17 1474
381 颱 風 이규 2013.07.12 1478
380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79
379 人質 이규 2012.12.27 1481
378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83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86
376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86
375 似而非 이규 2013.03.21 1488
374 籌備 이규 2012.12.28 1490
373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492
372 侍 墓 이규 2013.06.21 1494
371 戰 國 이규 2013.06.09 1496
370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01
36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01
368 名分 이규 2013.02.11 1503
367 頭 角 이규 2013.06.07 1505
366 西 方 이규 2013.05.23 1506
36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