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6
어제:
257
전체:
762,488

우리말

2015.04.02 20:24

셀라비 조회 수:2094


본뜻:''은 칼을 뜻하는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려말까지 ''''는 화폐를

의미하는 뜻으로 나란히 쓰였고, 소리도 ''''으로 같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한글이

창제된 후 ''으로 통일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설로는 고려 시대에 ''가 무게의 단위 '돈쭝'으로 변용 되어 ''''으로

와전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밖에도 ''''에서 나온 것으로, 그 의미는 사회 정책상의 훈계가 포함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은 한 사람이 많이 가지게 되면 칼의 화를 입기 때문에 그것을 훈계하기

위해 ''''라 하고 그것을 ''으로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고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명도전 같은 화폐가 칼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학설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무튼 위의 세 학설 모두 ''이란 것이 쓰기에 따라서 사물을 자르고 재단하는 ''처럼

유용한 것인가 하면 생명을 죽이거나 상처 내는 ''처럼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는 공통된 전언을

담고 있다


바뀐 뜻:상품 교환의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로

사용하거나, 재산 축적의 지표로 삼기 위하여 금속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사회에 유통되는

물건을 가리킨다


"보기글"

-돈이 많다고 해서 함부로 쓰다간 반드시 돈 때문에 우는 일이 생길 것이야

-돈 나고 사람 났냐? 사람 나고 돈 났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69
423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2
422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373
421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374
420 秋毫 이규 2013.02.03 1379
419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80
418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381
417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83
416 洪水 이규 2013.02.02 1384
415 文 字 이규 2013.07.06 1386
414 賂物 이규 2012.12.11 1387
413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387
412 周 年 이규 2013.06.20 1390
411 古 稀 셀라비 2014.09.22 1391
410 告由文 이규 2013.07.08 1394
409 國 家 이규 2013.06.10 1404
408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07
407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07
406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11
40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