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7
어제:
289
전체:
769,354

우리말

2015.04.02 20:24

셀라비 조회 수:2283


본뜻:''은 칼을 뜻하는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려말까지 ''''는 화폐를

의미하는 뜻으로 나란히 쓰였고, 소리도 ''''으로 같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한글이

창제된 후 ''으로 통일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설로는 고려 시대에 ''가 무게의 단위 '돈쭝'으로 변용 되어 ''''으로

와전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밖에도 ''''에서 나온 것으로, 그 의미는 사회 정책상의 훈계가 포함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은 한 사람이 많이 가지게 되면 칼의 화를 입기 때문에 그것을 훈계하기

위해 ''''라 하고 그것을 ''으로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고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명도전 같은 화폐가 칼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학설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무튼 위의 세 학설 모두 ''이란 것이 쓰기에 따라서 사물을 자르고 재단하는 ''처럼

유용한 것인가 하면 생명을 죽이거나 상처 내는 ''처럼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는 공통된 전언을

담고 있다


바뀐 뜻:상품 교환의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로

사용하거나, 재산 축적의 지표로 삼기 위하여 금속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사회에 유통되는

물건을 가리킨다


"보기글"

-돈이 많다고 해서 함부로 쓰다간 반드시 돈 때문에 우는 일이 생길 것이야

-돈 나고 사람 났냐? 사람 나고 돈 났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37
403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0
402 割據 셀라비 2012.11.09 1543
401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43
400 封套 이규 2012.11.19 1547
399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48
398 妥結 이규 2012.12.02 1550
39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52
396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55
395 兩立 이규 2012.12.13 1556
394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57
393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57
392 颱 風 이규 2013.07.12 1561
391 景福 셀라비 2012.10.31 1565
390 似而非 이규 2013.03.21 1566
38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71
388 民心 이규 2012.12.09 1573
387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73
386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75
385 跛行 이규 2013.03.18 1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