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5
어제:
257
전체:
762,437

한자 鷄鳴狗盜

2014.12.19 21:15

셀라비 조회 수:1964

계명구도 鷄鳴狗盜(닭 계․울 명․개 구․도둑도)


닭의 소리를 내고 개 모양을 하여 도적질하다. ① 잔재주를 자랑함. ② 비굴한 꾀로 남을 속이는 천박한 짓. ③ 行世하는 사람이 배워서는 아니 될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


동의어 函谷鷄鳴(함곡계명) : 함곡관의 닭 울음소리라는 뜻.


고사 : 제(齊)나라의 맹상군(孟嘗君)은 갖가지 재주있는 식객이 많았다. 어느 날 진(秦)나라 소왕(昭王)의 부름을 받아 가서 호백구(狐白裘)를 선물했다. 소왕은 맹상군을 임명하려 했지만 많은 신하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한편 맹상군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음모를 알아차리고 소왕의 애첩 총희(寵嬉)를 달래 나가게 해달라고 부탁하니 호백구를 요구 하였다. 개 흉내로 도둑질에 능한 사람이“신이 능히 호백구를 얻어 오겠습니다.”하고 이에 밤에 개 흉내를 내어 진나라 궁의 창고로 들어가서 바쳤던 호백구를 취해서 그녀에게 주니 그녀의 간청으로 석방되었다. 그 곳을 빠져 나와 밤중에 함곡관에 이르니 닭이 울어야 객을 내보낸다는 관법으로 객 중에 닭 울음소리를 잘 내는 자가 꼬끼오 하니 모든 닭이 따라 울어 관문이 열렸고 무사히 통과하여 제나라로 올 수 있었다. 나중에 소왕은 맹상군의 귀국을 허락한 것을 뉘우치고 병사들로 하여금 뒤쫓게 했으나 이미 관문을 통과한 뒤였다.(史記, 孟嘗君傳)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656
12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535
122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02
12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574
120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05
11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37
11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57
11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03
116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46
115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12
114 似而非 이규 2013.03.21 1466
113 杜鵑 이규 2013.03.20 2009
11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18
111 跛行 이규 2013.03.18 1448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455
109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690
10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70
10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336
106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0
10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