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24
어제:
433
전체:
765,525

한자 鷄鳴狗盜

2014.12.19 21:15

셀라비 조회 수:2073

계명구도 鷄鳴狗盜(닭 계․울 명․개 구․도둑도)


닭의 소리를 내고 개 모양을 하여 도적질하다. ① 잔재주를 자랑함. ② 비굴한 꾀로 남을 속이는 천박한 짓. ③ 行世하는 사람이 배워서는 아니 될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


동의어 函谷鷄鳴(함곡계명) : 함곡관의 닭 울음소리라는 뜻.


고사 : 제(齊)나라의 맹상군(孟嘗君)은 갖가지 재주있는 식객이 많았다. 어느 날 진(秦)나라 소왕(昭王)의 부름을 받아 가서 호백구(狐白裘)를 선물했다. 소왕은 맹상군을 임명하려 했지만 많은 신하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한편 맹상군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음모를 알아차리고 소왕의 애첩 총희(寵嬉)를 달래 나가게 해달라고 부탁하니 호백구를 요구 하였다. 개 흉내로 도둑질에 능한 사람이“신이 능히 호백구를 얻어 오겠습니다.”하고 이에 밤에 개 흉내를 내어 진나라 궁의 창고로 들어가서 바쳤던 호백구를 취해서 그녀에게 주니 그녀의 간청으로 석방되었다. 그 곳을 빠져 나와 밤중에 함곡관에 이르니 닭이 울어야 객을 내보낸다는 관법으로 객 중에 닭 울음소리를 잘 내는 자가 꼬끼오 하니 모든 닭이 따라 울어 관문이 열렸고 무사히 통과하여 제나라로 올 수 있었다. 나중에 소왕은 맹상군의 귀국을 허락한 것을 뉘우치고 병사들로 하여금 뒤쫓게 했으나 이미 관문을 통과한 뒤였다.(史記, 孟嘗君傳)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28
383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24
382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14
381 快 擧 이규 2013.07.21 2014
380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12
379 發祥地 이규 2013.10.20 2010
378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07
377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00
376 賞 春 이규 2013.08.15 1998
375 至孝 이규 2012.10.29 1998
37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97
373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92
372 執牛耳 이규 2013.11.15 1989
371 誣 告 이규 2013.07.24 1987
370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87
369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86
368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81
367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78
366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78
365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