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15
어제:
783
전체:
770,075

한자 肝膽相照

2014.11.23 20:34

셀라비 조회 수:1650

간담상조 肝膽相照(肝 : 간 간․膽 : 쓸개 담)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

고사 : 唐나라 유종원(柳宗元;773~819, 字 : 子厚)이 유주자사(柳州刺史)로 임명 되었는데 그의 친구 유몽득(劉夢得)도 파주자사(播州刺史)로 가게 되었다. 유종원이 그것을 알고 울먹이면서 "파주는 몹시 궁벽한 변방인데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갈 수도 없을 것이고 또한 그 사실을 어떻게 어머님께 알릴 수 있겠는가? 내가 간청하여 몽득 대신 파주로 가는 것이 좋겠다." 라고 말했다. 유종원이 죽은 후 한유(韓愈)가 그 우정에 감복하여 유종원의 묘지명을 썼는데 '사람이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참된 절의(節義)가 나타나는 것이다. 평소에는 서로 그리워하고 같이 술을 마시며 놀고 즐겁게 웃는데 마치 간담(肝膽)을 내보이는 것처럼 하고 죽는 한이 있어도 우정만은 변치 말자고 맹세한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있으면 눈을 돌려 모르는 듯한 얼굴을 한다…….' 라고 하였다.『柳子厚墓誌銘』

출전 : 韓愈柳子厚墓誌銘에 握手出肝膽하여 相示라하다.
** 韓(나라이름 한) 愈(나을 유) 厚(두터울 후) 誌(기록할 지) 銘(새길 명) 握(잡을 악)

☞지주사는 이렇게 겸사하면서도 이 어린 청년과 주객이 肝膽相照하게 된 것을 그리고 틈이 벌어가고 한 모퉁이가 이그러져 가는 이집을 바로 붙드는데 자기가 한 몫 거들어야 하게 된 것에 깊은 감격과 자랑을 느끼는 것이었다.(廉想涉, 三代)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93
103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98
102 快 擧 이규 2013.07.21 2098
101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099
100 苦 杯 이규 2013.08.03 2102
9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05
98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114
97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117
96 改 閣 이규 2013.08.26 2122
95 人 倫 이규 2013.07.29 2126
94 文 獻 셀라비 2014.03.03 2126
93 사리 셀라비 2015.04.18 2129
92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34
91 杜鵑 이규 2013.03.20 2140
90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143
89 千字文 이규 2013.10.12 2144
88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44
87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146
86 問 鼎 이규 2013.11.23 2147
85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