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0
어제:
257
전체:
762,472

한자 三十六計

2014.10.30 20:39

셀라비 조회 수:1421

三十六計

여섯

셈할

곤란할 때는 도망치는 것이 최상책

三國()의 오랜 싸움이 끝나고 天下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內亂匈奴侵掠으로 滅亡하여 楊子江 남쪽으로 옮겨가고 中國 大陸 北方黃河 流域에는 북쪽, 서쪽에서 여러 異民族들이 마구 밀려 들어왔다. 이리하여 얽히고 설킨 勢力 分布가 차츰 南北으로 크게 나뉘어 南北兩朝의 싸움으로 쉴날이 없었다.

이 무렵, 北方에서는 鮮卑族이 세운 勢力强盛해 졌고, 南方에는 勢力이 가장 莫强했다. 最後 皇帝였던 순제(順帝)齊王 소도성(蕭道成)과 왕경측(王敬則) 등의 壓力으로 나라에 바친 다음 被殺되었다.

그런데 王敬則叛亂을 일으켜 나라 首都 건강(建康)해 쳐들어갔다. 그는 본디 太守였었는데, 蕭道成皇帝와는 오랫 동안 싸움이 있어 왔고 아들도 被殺된 적이 있어 이제는 結末을 내야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一戰覺悟하고 싸우러 가는 도중에 그는 皇室측에서 퍼뜨린 所聞을 들었다. 王敬則逃亡친다는 所聞이었다. 이 말을 들은 王敬則은 내뱉듯이 말했다.

단장군(檀將軍)計略에는 갖가지가 있다고 하나 그 중에 逃亡치는 것이 上策이었다더라. 너희들이나 속히 逃亡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50
10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07
10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90
101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18
100 膺懲 이규 2013.02.18 1572
99 杜鵑花 이규 2013.02.13 1711
98 瓦斯 이규 2013.02.12 1513
97 獅子喉 이규 2013.02.12 1569
96 名分 이규 2013.02.11 1494
95 風塵 이규 2013.02.06 1708
94 寸志 이규 2013.02.06 1342
93 師表 이규 2013.02.04 1565
92 秋霜 이규 2013.02.04 1529
91 長蛇陣 이규 2013.02.03 1522
90 秋毫 이규 2013.02.03 1370
89 菽麥 이규 2013.02.02 1508
88 園頭幕 이규 2013.02.02 1342
87 洪水 이규 2013.02.02 1378
86 刑罰 이규 2013.02.01 1525
85 所聞 이규 2013.02.01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