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6
어제:
289
전체:
769,333

한자 無用之用

2014.10.21 21:17

셀라비 조회 수:2690

無用之用

없을

세상에 쓰여지지 않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여짐

莊子 人間世篇隱士 광접여(狂接輿)孔子에 대해 하면서, “산 속의 나무는 有用하기에 伐採되어 自身怨讐가 되고, 기름은 밝은 빛을 내기에 태워져 自身을 태우며, 육계(肉桂)食料가 되고 옻은 도료(塗料)가 되기에 베어진다. 有用만 알고, 無用은 알려고 하지 않으니 서글픈 일이다고 하였다. 이 말은 孔子仁義로써 亂世를 다스리려는 것을 풍자(諷刺)한 것으로, 조그만 有用은 오히려 自身을 망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莊子가 말하였다. “땅이란 사람이 서있기 위하여 발을 들여 놓을 정도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딛고 있는 땅을 除外한 나머지를 나락(奈落-지옥)까지 팠다고 해보자. 그래도 발 밑 땅만이 有用하다고 하겠는가?”

弟子가 여행을 하다가 가지가 울창한 나무를 보았다. 나뭇꾼이 손도 되지 않았다. 이유를 물으니 莊子가 답했다.

이 나무는 아무 쓸모가 없었기에 天壽를 다할 수 있었던 게지.”

선생님은 有用한 것과 無用한 것 중 어느 쪽을 택하시렵니까?”

有用, 無用中間이라 할까? 世界稱讚도 욕도 먹지 않고 順應하여 다투지 않고 사는 것, 統制하더라도 制御되지 않는 것, 그러면 아무 도 끼치지 않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82
12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75
122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25
12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17
120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38
11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54
11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49
11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24
116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79
115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778
114 似而非 이규 2013.03.21 1563
113 杜鵑 이규 2013.03.20 2134
11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28
111 跛行 이규 2013.03.18 1571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581
109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829
10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78
10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64
106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37
10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