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6
어제:
257
전체:
762,478

한자 牛刀割鷄

2014.09.21 16:06

셀라비 조회 수:1736

牛刀割鷄

나눌

닭 잡는데에 소의 칼을 씀

孔子平素治國要諦로써 强調한 바 있다. 한 번은 弟子 자유(子遊)가 다스리고 있는 무성(武城) 땅을 지나게 되었다. 거리에선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들려오며, 그 소리에 맞추어 詩書를 읊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孔子弟子이 되어 다스리는 이 고을에서 현가(絃歌) 소리를 듣고, 平素의 가르침이 實現되는 것을 보고 기쁘게 여기면서 弄談을 섞어 한마디 했다.

자유(子遊), 무성(武城)같은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데 그리 虛風스럽게 현가(絃歌)같은 것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느냐? 닭을 잡는데 소를 잡는 큰 칼을 쓰지 않아도 될텐데.”

저는 선생님으로부터 사람위에 서서 百姓을 다스리는 禮樂을 배움으로써 百姓을 사랑하게 되고, 또한 百姓禮樂을 배움으로써 溫柔하게 되어 잘다스러지며, 禮樂의 길은 上下간에 重要하다고 배워, 오직 이 가르침을 따랐을 뿐이옵니다.”

孔子가 가벼운 弄談으로 한 말을 弟子 자유(子遊)陳情으로 받아 들이는 눈치를 보고, 孔子는 자신의 말을 後悔했다.

牛刀割鷄는 작은 일을 圖謨하는데 格式에 맞지않게 일을 크게 벌리는 境遇라 할 수 있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品 評 셀라비 2014.06.24 1677
103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629
102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625
101 洞 房 셀라비 2014.07.02 1684
10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582
9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06
98 杜 撰 셀라비 2014.07.10 1592
97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668
9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09
95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584
94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687
93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70
9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79
91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25
9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20
8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82
8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78
87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98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9
8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