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0
어제:
1,101
전체:
763,583

한자 牛刀割鷄

2014.09.21 16:06

셀라비 조회 수:1781

牛刀割鷄

나눌

닭 잡는데에 소의 칼을 씀

孔子平素治國要諦로써 强調한 바 있다. 한 번은 弟子 자유(子遊)가 다스리고 있는 무성(武城) 땅을 지나게 되었다. 거리에선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들려오며, 그 소리에 맞추어 詩書를 읊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孔子弟子이 되어 다스리는 이 고을에서 현가(絃歌) 소리를 듣고, 平素의 가르침이 實現되는 것을 보고 기쁘게 여기면서 弄談을 섞어 한마디 했다.

자유(子遊), 무성(武城)같은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데 그리 虛風스럽게 현가(絃歌)같은 것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느냐? 닭을 잡는데 소를 잡는 큰 칼을 쓰지 않아도 될텐데.”

저는 선생님으로부터 사람위에 서서 百姓을 다스리는 禮樂을 배움으로써 百姓을 사랑하게 되고, 또한 百姓禮樂을 배움으로써 溫柔하게 되어 잘다스러지며, 禮樂의 길은 上下간에 重要하다고 배워, 오직 이 가르침을 따랐을 뿐이옵니다.”

孔子가 가벼운 弄談으로 한 말을 弟子 자유(子遊)陳情으로 받아 들이는 눈치를 보고, 孔子는 자신의 말을 後悔했다.

牛刀割鷄는 작은 일을 圖謨하는데 格式에 맞지않게 일을 크게 벌리는 境遇라 할 수 있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食言 lkplk 2013.01.29 1105
403 飜覆 이규 2013.01.29 1301
402 解體 이규 2013.01.31 1078
401 傾盆 셀라비 2013.01.31 1071
400 所聞 이규 2013.02.01 1536
399 刑罰 이규 2013.02.01 1554
398 洪水 이규 2013.02.02 1408
397 園頭幕 이규 2013.02.02 1368
396 菽麥 이규 2013.02.02 1533
395 秋毫 이규 2013.02.03 1401
394 長蛇陣 이규 2013.02.03 1566
393 秋霜 이규 2013.02.04 1558
392 師表 이규 2013.02.04 1606
391 寸志 이규 2013.02.06 1361
390 風塵 이규 2013.02.06 1756
389 名分 이규 2013.02.11 1524
388 獅子喉 이규 2013.02.12 1610
387 瓦斯 이규 2013.02.12 1537
386 杜鵑花 이규 2013.02.13 1745
385 膺懲 이규 2013.02.18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