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33
어제:
776
전체:
770,769

한자 玉石混淆

2014.08.20 21:15

셀라비 조회 수:1967

玉石混淆

섞을

뒤섞일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임

의 갈홍(葛洪)이 쓴 포박자(抱朴子)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詩經이나 書經같은 經典道義大海라 한다면, 諸子百家는 그것을 보태고 깊게 하는 내()의 흐름이라 할 수 있다. 方法은 달라도 을 닦는 데에는 差異가 없다. 古人才能을 얻기 어려움을 歎息하여 곤산(崑山)이 아니라 해서 야광주(夜光珠)를 버리거나, 聖人가 아니라 해서 修養에 도움이 되는 말을 버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 이래 본받을 만한 좋은 말이 많았지만 그 品定을 하는 人性이 나타나지 않아, 見識이 좁은 사람들은 字義解析에만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奇異字句輕視하거나, 쓸 데 없는 것이라고 度外視하거나, 또는 廣博하여 사람의 머리를 어지럽게 한다고 하였다. 淺薄詩賦感想하는가 하면 뜻이 깊은 諸子百家의 책들은 멀리하고, 眞僞를 가리지 못하고, 玉石을 서로 분간이 안되게 섞어버리며(混淆), 雅樂俗樂을 한가지로 보니 참으로 슬프기 그지 없다.“

올바른 學文에의 길을 가르치기 위한 內容의 글이다. 여기에서 표현된 玉石混淆는 좋은 것 나쁜 것이 뒤섞여서 사물에 대한 判斷이 흐려진다든지 價値觀이 뒤바뀔 때 이런 표현을 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11
323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11
322 獅子喉 이규 2013.02.12 1716
321 膺懲 이규 2013.02.18 1716
320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19
319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20
318 復舊 이규 2012.11.05 1722
317 不惑 이규 2012.12.17 1724
316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25
315 師表 이규 2013.02.04 1727
31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30
31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32
312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3
3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35
310 文化 이규 2012.12.03 1739
309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9
308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2
307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44
306 凱 旋 yikyoo 2014.06.11 1746
305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