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1
어제:
257
전체:
762,353

한자 麥秀之嘆

2014.08.17 19:51

셀라비 조회 수:1800

麥秀之嘆

보리

이삭나올

탄식할

故國의 멸망을 한탄함

의 주왕(紂王)國政을 돌보지 않고 酒池肉林에 빠지니 臣下들 중에 하는 가 있었다. 그중 삼인(三人)이라 일컫는 미자(微子), 기자(箕子), 비간(比干)이 있었다. 微子紂王의 형이다. 여러 차례 의 그릇됨을 指摘하여 하였으나 듣지 않으니 國外亡命해 버렸다.

箕子도 마찬가지였다. 역시 國外亡命하여 紂王羞恥를 드러낼까 두려워 거짓으로 미치광이 노릇도 하고 奴隸 노릇도 하였다.

比干王子로서 하다가 가슴을 찢겨 죽임을 당하였다.

나라가 서고 箕子朝鮮 王으로 책봉되었다. 어느 해 箕子故國에 돌아와 의 옛 都邑地를 지나게 되었다. 華麗하던 市街地廢墟가 되었고, 宮闕터에는 보리나 기장이 무성하기만 했다. 그는 서글픈 感懷를 못이겨 한 수를 읊었다.

麥秀漸店兮(맥수점점혜) 보리 이삭은 무럭무럭 자라나고

禾黍油有兮(화서유유혜) 벼와 기장은 윤이 흐르는구나.

彼狡童兮(피교동혜) 교활한 저 사람이여 (주왕을 의미)

不與我好兮(불여아호혜) 내말 듣지 않음이 서글피구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399
263 兒 童 이규 2013.10.09 2155
262 婚 姻 이규 2013.10.08 2700
261 破 格 이규 2013.10.07 1756
260 百 姓 이규 2013.10.06 2027
259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118
258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562
257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397
256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006
255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049
254 國 語 이규 2013.09.29 2316
253 廣 告 이규 2013.09.28 3525
252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69
251 非 理 이규 2013.09.26 1708
250 紛 糾 이규 2013.09.25 1984
249 幾 何 이규 2013.09.24 2171
248 敎 育 이규 2013.09.23 2010
247 天安門 이규 2013.09.22 1731
246 妄 言 이규 2013.09.20 1747
245 改 革 이규 2013.09.19 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