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7
어제:
286
전체:
767,071

한자 麥秀之嘆

2014.08.17 19:51

셀라비 조회 수:1939

麥秀之嘆

보리

이삭나올

탄식할

故國의 멸망을 한탄함

의 주왕(紂王)國政을 돌보지 않고 酒池肉林에 빠지니 臣下들 중에 하는 가 있었다. 그중 삼인(三人)이라 일컫는 미자(微子), 기자(箕子), 비간(比干)이 있었다. 微子紂王의 형이다. 여러 차례 의 그릇됨을 指摘하여 하였으나 듣지 않으니 國外亡命해 버렸다.

箕子도 마찬가지였다. 역시 國外亡命하여 紂王羞恥를 드러낼까 두려워 거짓으로 미치광이 노릇도 하고 奴隸 노릇도 하였다.

比干王子로서 하다가 가슴을 찢겨 죽임을 당하였다.

나라가 서고 箕子朝鮮 王으로 책봉되었다. 어느 해 箕子故國에 돌아와 의 옛 都邑地를 지나게 되었다. 華麗하던 市街地廢墟가 되었고, 宮闕터에는 보리나 기장이 무성하기만 했다. 그는 서글픈 感懷를 못이겨 한 수를 읊었다.

麥秀漸店兮(맥수점점혜) 보리 이삭은 무럭무럭 자라나고

禾黍油有兮(화서유유혜) 벼와 기장은 윤이 흐르는구나.

彼狡童兮(피교동혜) 교활한 저 사람이여 (주왕을 의미)

不與我好兮(불여아호혜) 내말 듣지 않음이 서글피구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290
48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004
482 至孝 이규 2012.10.29 2016
481 審判 이규 2012.10.30 1955
480 景福 셀라비 2012.10.31 1541
479 省墓 이규 2012.11.01 1547
478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66
477 光化門 이규 2012.11.03 1759
4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60
475 復舊 이규 2012.11.05 1683
474 城郭 이규 2012.11.06 1629
473 國會 이규 2012.11.07 1973
472 閏月 이규 2012.11.08 3007
471 割據 셀라비 2012.11.09 1522
470 寒心 이규 2012.11.10 1891
469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759
468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02
467 世代 이규 2012.11.13 1636
466 慢慢的 이규 2012.11.15 1597
465 聖域 이규 2012.11.16 1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