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0
어제:
257
전체:
762,382

한자 輓 歌

2014.07.15 20:43

셀라비 조회 수:1792

輓 歌

수레끌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漢 高祖卽位하기 전의 일이다. 齊王 전횡(田橫)나라 將帥 韓信에게 急襲을 당했던 일이 있었던 바, 그 분풀이로 使臣인 역이기(餌其)를 삶아 죽였다. 그리고는 漢 高祖를 두려워하여 오백여명의 部下와 함께 逃亡쳐 버렸다.

高祖는 나중에 田橫을 일으킬까 念慮하여 그의 容恕하고 불렀다. 그러나 田橫洛陽 못 미쳐까지 와서는 漢王을 섬기는 것이 부끄럽다 하여 목을 찔러 自決하고 말았다. 그 목을 高祖에게 바친 將軍도 나중에 田橫追慕하다가 그의 무덤가에서 목을 메어 죽고 말았다. 이 소식을 접한 남아있던 5백명의 部下들도 田橫의 죽은 소식을 듣고, 그를 追慕하며 殉死하였다.

田橫門人이 해로(), 호리(蒿里) 喪歌를 지었는데, 田橫의 죽음을 哀悼하며 슬퍼 노래하였다.

上朝路何易晞 / 路晞明朝更復落 / 人死一去何時歸 <>

부추위의 이슬은 쉬이 마르도다. / 이슬은 말라도 내일 다시 내리지만/

사람은 한 번 죽어 가면 언제 다시 돌아오려나.

蒿里誰家地 / 魂魄無賢愚 / 魂伯一何相催促 / 人命不得少蜘<蒿里>

호리는 뉘 집터이고 / 혼백거두는 때는 현우가 없네. / 귀백은 어찌 그리

재촉하는고 / 인명은 잠시도 머뭇거리지 못하네.

漢武帝가 악부(樂府)의 일을 맡은 이연년(李延年)으로 하여금 이 노래를 葬禮詩에 부르게 하니, 사람들이 이를 輓歌라고 불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07
403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08
402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09
401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10
400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13
39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14
398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15
397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3
396 割據 셀라비 2012.11.09 1424
395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27
394 兩立 이규 2012.12.13 1430
393 封套 이규 2012.11.19 1431
392 妥結 이규 2012.12.02 1433
391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34
390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36
389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36
388 跛行 이규 2013.03.18 1440
387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41
386 景福 셀라비 2012.10.31 1443
385 颱 風 이규 2013.07.12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