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29
어제:
289
전체:
769,106

한자 得壟望蜀

2014.07.14 21:40

셀라비 조회 수:1835

得壟望蜀

얻을

언덕

바랄

나라이름

욕심은 한이 없음을 이르는 말

後漢 光武帝의 이야기이다. 그 때 나라안은 群雄割據하고 있었는데, 長安에 적미(赤眉), 西에 외효(외효), 河西에 공손술(公孫述), 雖陽에 유영(劉永), 盧江에 이헌(李憲), 임치(臨淄)에는 장보(張步) 등이 莫强影響力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중에 長安赤眉, 雖陽에 유영(劉永), 盧江에 이헌(李憲), 公孫述 등은 皇帝稱號를 붙이고 있었다. 光武帝赤眉, 劉永, 李憲, 張步 등을 모두 討伐하였다.

이제 남은 것은 농西의 외효와 公孫述問題였다. 외효는 光武帝에게서 서주상장군(西州上將軍)이란 稱號를 받은적 있었으나, 光武帝勢力이 커지자 公孫述과 제휴(提携)하여 對抗하려 들었다. 그러나 公孫述은 이에 응하지 않고 외효가 보낸 使臣을 푸대접하여 돌려 보냈다. 그리고는 光武帝와의 盟約을 더욱 두터이 했다.

한편 외효도 光武帝로부터 臣下로서 섬길 것을 强要당하자 이에 抗拒하였으나 途中으로 죽고, 그의 아들 구순(寇恂)降伏함으로써 농西光武帝에 의 손에 平定되고 말았다. 이에 光武帝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人生滿足함을 모른다. 이미 농()을 얻고 또 다시 을 바란다.”

그래서 이듬 해 드디어 大軍을 몸소 거느리고 을 쳐 깨뜨리고 天下平定하였다. 望蜀은 여기서 비롯된 말로서 人間慾心이 끝이 없음을 말할 때 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905
283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35
282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818
281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17
280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153
279 問 津 이규 2013.10.25 1923
278 效 嚬 셀라비 2013.10.24 1937
27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003
276 義 擧 이규 2013.10.21 1806
275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801
274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11
273 發祥地 이규 2013.10.20 2066
272 箴 言 이규 2013.10.19 1896
271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95
27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20
269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907
268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77
267 幣 帛 이규 2013.10.13 1980
266 千字文 이규 2013.10.12 2122
265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