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09
어제:
324
전체:
768,233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721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64
143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25
1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82
141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53
14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93
13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25
138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26
137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34
13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84
13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95
13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83
13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75
132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38
131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01
13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70
129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45
12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80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56
126 沐浴 [1] 이규 2013.04.08 1997
12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