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21
어제:
257
전체:
761,923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558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刑罰 이규 2013.02.01 1507
143 正 鵠 이규 2013.06.02 1504
142 秋霜 이규 2013.02.04 1503
141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496
140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495
139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494
138 慢慢的 이규 2012.11.15 1493
13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492
13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490
135 瓦斯 이규 2013.02.12 1489
134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487
133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486
13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486
131 菽麥 이규 2013.02.02 1485
130 所聞 이규 2013.02.01 1485
129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481
12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80
127 名分 이규 2013.02.11 1479
126 觀 察 셀라비 2014.03.28 1476
125 西 方 이규 2013.05.23 1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