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3
어제:
783
전체:
770,123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775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幾 何 이규 2013.09.24 2374
443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70
442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342
441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336
440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33
439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325
438 改 革 이규 2013.09.19 2324
437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323
436 鷄肋 셀라비 2014.12.17 2320
435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315
434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315
433 迎 入 [1] 이규 2013.06.18 2314
432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307
431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304
430 셀라비 2015.04.02 2300
429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99
42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90
427 조카 이규 2015.04.21 2282
426 겻불 셀라비 2015.04.12 2273
425 舊 臘 이규 2013.08.16 2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