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18
어제:
286
전체:
767,622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714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52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77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21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58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13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51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24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90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11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11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605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55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34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59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89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88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39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28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80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