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2
어제:
783
전체:
770,112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773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獅子喉 이규 2013.02.12 1707
323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09
322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09
321 膺懲 이규 2013.02.18 1713
3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15
319 不惑 이규 2012.12.17 1718
318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19
317 復舊 이규 2012.11.05 1720
316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20
315 師表 이규 2013.02.04 1721
31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23
31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26
312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27
311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1
310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2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33
308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37
307 凱 旋 yikyoo 2014.06.11 1738
306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1
305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