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97
어제:
289
전체:
769,274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789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301
44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154
44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312
441 鷄肋 셀라비 2014.12.17 2299
44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164
43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204
43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70
43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31
43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423
43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965
43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133
43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58
432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859
431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856
43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648
429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84
42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415
427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687
42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730
425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