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78
어제:
1,101
전체:
763,381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645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774
283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09
282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702
281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82
280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14
279 問 津 이규 2013.10.25 1797
278 效 嚬 셀라비 2013.10.24 1792
27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876
276 義 擧 이규 2013.10.21 1684
275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691
274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595
273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6
272 箴 言 이규 2013.10.19 1768
271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65
27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872
269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782
268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844
267 幣 帛 이규 2013.10.13 1855
266 千字文 이규 2013.10.12 2002
265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