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5
어제:
776
전체:
770,821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817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9
403 割據 셀라비 2012.11.09 1553
402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53
401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53
400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57
399 妥結 이규 2012.12.02 1565
398 封套 이규 2012.11.19 1566
39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66
39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9
395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9
39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70
393 兩立 이규 2012.12.13 1571
392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9
391 省墓 이규 2012.11.01 1582
390 颱 風 이규 2013.07.12 1585
38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6
388 景福 셀라비 2012.10.31 1591
387 民心 이규 2012.12.09 1592
386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92
385 討 伐 이규 2013.03.17 1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