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49
어제:
1,179
전체:
765,217

한자 馬耳東風

2014.06.22 20:17

셀라비 조회 수:1862

馬耳東風

동녘

바람

東風이 말귀를 스치듯 부질없는 짓

이태백(李太白)混亂했던 때에 태어나 自身理想을 펴보지 못하고 平生을 술과 만을 벗삼아 보냈던 不運詩人이다時代는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그의 理想 역시 時代容納할 수 없었던 탓이다

그의 친구중에 왕십이(王十二)라는 이가 있었다그 역시 世上을 질타(叱咤)하면서 보냈던 人物이다한번은 답답한 心情을 적은 를 적어 李太白에게 보내면서 應答詩要求했다.「寒夜獨酌有感(한야독작유감)이라는 인데그야말로 답답한 心情을 억누를 길 없어 추운 겨울밤 혼자 술잔을 기울이면서 분 세질속(憤世疾俗)하는 自身心境을 읊은 사실 王十二心情이나 自身心情은 다를 바 없다그는 卽席에서 答詩를 썼다

世人聞此皆悼頭(세인문차개도두-世人들은 다들 듣기만 해도 고개를 저으니) 有如東風射馬耳(유여동풍사마이-마치 東風이 말의 귓전을 때리는 것과 같도다) 본디 中國文人崇尙했던 나라였다그런데 世上混亂해져 將軍들이 판을 치는 世上으로 바뀌고 말았다그래서 李太白鬱憤이 있으면 술로 달랠 것을 勸誘하면서 아울러 지금과 같은 세상에 그대와 같은 人格容納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當然하다고 慰勞한다왜냐하면 다들 詩文에는 關心이 없고 俗世榮達에만 血眼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들에게 아무리 詩句를 떠들어 봐야 고개만 저어 댈 뿐이니 東風이 말의 귀(馬耳)를 스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그것은 부질없는 짓일 뿐이라는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771
243 猖 獗 이규 2013.11.06 1770
242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67
241 諮 問 이규 2013.07.31 1766
240 濫 觴 셀라비 2014.06.20 1764
239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764
238 西 洋 셀라비 2014.03.02 1760
2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59
236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758
235 義 擧 이규 2013.10.21 1758
234 面 目 셀라비 2014.01.30 1757
233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57
232 報勳 이규 2013.07.14 1756
231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55
230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54
229 娑 魚 셀라비 2014.06.03 1754
228 關 係 LeeKyoo 2013.12.22 1749
227 旱 魃 셀라비 2014.04.04 1743
226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41
225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