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81
어제:
289
전체:
769,358

한자 濫 觴

2014.06.20 21:20

셀라비 조회 수:1832

濫 觴

넘칠

술잔

 

 

사물의 시초 또는 근원

 

 

弟子 子路가 잘 차려 입고 孔子를 뵈었다. 孔子는 그 模襲을 보고 너무 사치하다고 느껴 한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예로부터 양자강은 만산(巒山)에서 흘러내리는데, 根源의 물은 술잔()에 넘칠()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것이 下流에 와서는 水量이 많아지고 흐름도 빨라 배를 띄워야 건널 수 있으며, 바람이 없는 날을 고르지 않고서는 배로 건널 수도 없게 된다.

孔子는 어떤 일이든지 처음이 重要하며, 처음(始作)이 나쁘면 나중에는 큰일이 난다는 것을 깨우쳐 주려고 하였던 것이다.

子路, 그대는 지금 화려하게 입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그대를 타이를 수 있는 건 오직 나뿐이라고 생각한다.”

子路는 곧 反省을 하여 다른 옷으로 갈아 입고 왔다. 이를 본 孔子는 또 다시 말했다. “君子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確實區別하여, 아는 것은 안다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해야 한다. 實行할 수 있는 것은 實行할 수 있다하고, 實行할 수 없는 것은 實行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니, 이것이 行動目標이다. 앞의 것을 라 하고, 뒤의 것을 이라 하는데, 에다 을 더하면 더 좋을 데가 없다고 생각한다.”

濫觴孔子子路敎育시키면서 사용한 말로서, ‘事物始初, 根源을 뜻할 때 사용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97
443 分 野 이규 2013.05.20 1397
442 干 支 이규 2013.05.19 1405
441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409
440 赦免 [1] 이규 2013.01.27 1419
439 波紋 이규 2013.01.27 1421
43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425
437 寸志 이규 2013.02.06 1429
436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34
435 同盟 이규 2012.12.10 1444
434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44
433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48
432 園頭幕 이규 2013.02.02 1453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58
430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59
429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63
428 氾濫 이규 2012.12.26 1464
42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67
426 秋毫 이규 2013.02.03 1472
425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