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7
어제:
1,101
전체:
763,560

한자 濫 觴

2014.06.20 21:20

셀라비 조회 수:1709

濫 觴

넘칠

술잔

 

 

사물의 시초 또는 근원

 

 

弟子 子路가 잘 차려 입고 孔子를 뵈었다. 孔子는 그 模襲을 보고 너무 사치하다고 느껴 한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예로부터 양자강은 만산(巒山)에서 흘러내리는데, 根源의 물은 술잔()에 넘칠()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것이 下流에 와서는 水量이 많아지고 흐름도 빨라 배를 띄워야 건널 수 있으며, 바람이 없는 날을 고르지 않고서는 배로 건널 수도 없게 된다.

孔子는 어떤 일이든지 처음이 重要하며, 처음(始作)이 나쁘면 나중에는 큰일이 난다는 것을 깨우쳐 주려고 하였던 것이다.

子路, 그대는 지금 화려하게 입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그대를 타이를 수 있는 건 오직 나뿐이라고 생각한다.”

子路는 곧 反省을 하여 다른 옷으로 갈아 입고 왔다. 이를 본 孔子는 또 다시 말했다. “君子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確實區別하여, 아는 것은 안다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해야 한다. 實行할 수 있는 것은 實行할 수 있다하고, 實行할 수 없는 것은 實行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니, 이것이 行動目標이다. 앞의 것을 라 하고, 뒤의 것을 이라 하는데, 에다 을 더하면 더 좋을 데가 없다고 생각한다.”

濫觴孔子子路敎育시키면서 사용한 말로서, ‘事物始初, 根源을 뜻할 때 사용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91
383 颱 風 이규 2013.07.12 1491
382 人質 이규 2012.12.27 1492
381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92
380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93
379 討 伐 이규 2013.03.17 1494
378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96
377 似而非 이규 2013.03.21 1497
376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00
375 籌備 이규 2012.12.28 1504
37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08
373 侍 墓 이규 2013.06.21 1512
372 戰 國 이규 2013.06.09 1513
371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14
370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20
369 西 方 이규 2013.05.23 1520
368 名分 이규 2013.02.11 1521
367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21
366 傾 聽 이규 2013.07.03 1521
365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