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24
어제:
257
전체:
762,426

한자 淸 貧

2014.06.15 19:48

yikyoo 조회 수:1815

淸 貧

맑을

가난할

 

 

가난하되 깨끗함

 

 

()이 푸른 것()이다. 그런 물은 맑았으므로 맑다는 뜻도 있다. 청결(淸潔)청렴결백(淸廉潔白)청정(淸淨)숙청(肅淸)이 있다. 조개()를 나누었다()는 뜻이다. 옛날에는 조개가 돈이나 재화(財貨)를 상징했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 재물을 나누다가 되어 지금 말로 하면 자선사업(慈善事業)을 많이 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흔히 가난할 빈으로만 알고 거기에 內包되어 있는 崇高精神度外視한 채 結果만을 두고 장님 코끼리 만지듯 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은 결코 부끄럽거나 숨길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옛 어른들도 을 피하거나 탓하기보다 오히려 즐겼다. 청빈(淸貧)이니 안빈낙도(安貧樂道)가 그것이다. 正反對의 글자가 (탐할 탐)이다. 나누기는 커녕 목전()의 이익()에만 현혹(眩惑)되어 慾心을 품는 경우라 하겠다. 그래서 탐관오리(貪官汚吏)탐욕(貪慾)식탐(食貪)등은 나쁜 뜻으로 쓰이고 있다.

이처럼 은 천양지차(天壤之差)가 있음에도 模樣이 비슷해 區別하기가 쉽지 않다. 그것은 의 본 뜻은 망각한 채 世俗的인 뜻家難에만 執着하다 보면 쉽게 하게 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요즘 모 公職者의 비리(非理)사건이 연일 크게 報道되고 있다. 아마도 의 본뜻을 몰랐던 模樣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776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14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775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05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63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1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80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68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66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09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11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69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58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668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575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03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658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581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592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