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13
어제:
296
전체:
768,013

한자 多岐亡羊

2014.06.09 21:01

yikyoo 조회 수:1772

多岐亡羊

많을

가닥나뉠

잃을

학문의 길은 멀고 멀음으로

진리를 찾기 어려움

春秋時代 楊子(孔子以後 孟子以前學者)의 이웃집 사람이 한마리를 잃었다. 그는 그 집 사람을 다 動員하고 또 楊子네 집 사람까지 하여 잃은 을 찾으러 나섰다. 그 때 楊子가 물었다.

한 마리의 을 찾는데 왜 그리 여러 사람이 나서는가?”

양이 逃亡친 쪽으로 岐路(갈림길)가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사람들이 돌아왔다.

을 찾았는가?”

못 찾았습니다.”

을 못 찾았는가?”

岐路가 있어 들어갔더니 또 岐路가 나옵니다(琦路之中又有岐路).” 그래서 우리들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할 수 없이 되돌아 왔지요.“

楊子는 그 말을 듣고는 우울한 얼굴로 말을 잊고 있었다. 弟子가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에 楊子는 한참만에 서서히 입을 열었다. “目的한 마리를 찾는 일인데, 갈림길 갈림길하고 헤메다가 결국 그것을 잃고 말았다. 學文의 길도 그와 같다. 眞理核心을 놓치고 마는 探究方法無意味하고 헛된 것임을 깨달았네.”

目標를 정하였으면 바른 길을 찾아야 함을 强調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925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54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947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71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502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68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30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925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87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948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856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97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77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819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736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942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812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719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46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