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7
어제:
305
전체:
766,510

한자 多岐亡羊

2014.06.09 21:01

yikyoo 조회 수:1743

多岐亡羊

많을

가닥나뉠

잃을

학문의 길은 멀고 멀음으로

진리를 찾기 어려움

春秋時代 楊子(孔子以後 孟子以前學者)의 이웃집 사람이 한마리를 잃었다. 그는 그 집 사람을 다 動員하고 또 楊子네 집 사람까지 하여 잃은 을 찾으러 나섰다. 그 때 楊子가 물었다.

한 마리의 을 찾는데 왜 그리 여러 사람이 나서는가?”

양이 逃亡친 쪽으로 岐路(갈림길)가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사람들이 돌아왔다.

을 찾았는가?”

못 찾았습니다.”

을 못 찾았는가?”

岐路가 있어 들어갔더니 또 岐路가 나옵니다(琦路之中又有岐路).” 그래서 우리들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할 수 없이 되돌아 왔지요.“

楊子는 그 말을 듣고는 우울한 얼굴로 말을 잊고 있었다. 弟子가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에 楊子는 한참만에 서서히 입을 열었다. “目的한 마리를 찾는 일인데, 갈림길 갈림길하고 헤메다가 결국 그것을 잃고 말았다. 學文의 길도 그와 같다. 眞理核心을 놓치고 마는 探究方法無意味하고 헛된 것임을 깨달았네.”

目標를 정하였으면 바른 길을 찾아야 함을 强調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苦 杯 이규 2013.08.03 2041
383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39
382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39
381 快 擧 이규 2013.07.21 2028
380 發祥地 이규 2013.10.20 2027
379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24
37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17
377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16
376 賞 春 이규 2013.08.15 2013
375 至孝 이규 2012.10.29 2011
374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09
37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08
372 執牛耳 이규 2013.11.15 2007
371 誣 告 이규 2013.07.24 2001
370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00
369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97
368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94
367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93
366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88
365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