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22
어제:
1,101
전체:
763,325

한자 多岐亡羊

2014.06.09 21:01

yikyoo 조회 수:1659

多岐亡羊

많을

가닥나뉠

잃을

학문의 길은 멀고 멀음으로

진리를 찾기 어려움

春秋時代 楊子(孔子以後 孟子以前學者)의 이웃집 사람이 한마리를 잃었다. 그는 그 집 사람을 다 動員하고 또 楊子네 집 사람까지 하여 잃은 을 찾으러 나섰다. 그 때 楊子가 물었다.

한 마리의 을 찾는데 왜 그리 여러 사람이 나서는가?”

양이 逃亡친 쪽으로 岐路(갈림길)가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사람들이 돌아왔다.

을 찾았는가?”

못 찾았습니다.”

을 못 찾았는가?”

岐路가 있어 들어갔더니 또 岐路가 나옵니다(琦路之中又有岐路).” 그래서 우리들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할 수 없이 되돌아 왔지요.“

楊子는 그 말을 듣고는 우울한 얼굴로 말을 잊고 있었다. 弟子가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에 楊子는 한참만에 서서히 입을 열었다. “目的한 마리를 찾는 일인데, 갈림길 갈림길하고 헤메다가 결국 그것을 잃고 말았다. 學文의 길도 그와 같다. 眞理核心을 놓치고 마는 探究方法無意味하고 헛된 것임을 깨달았네.”

目標를 정하였으면 바른 길을 찾아야 함을 强調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10
403 持 滿 이규 2013.11.28 2005
402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04
401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002
400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01
399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0
398 千字文 이규 2013.10.12 1995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89
39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80
3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77
394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76
393 사리 셀라비 2015.04.18 1974
392 苦 杯 이규 2013.08.03 1964
391 人 倫 이규 2013.07.29 1963
390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62
389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1
388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57
387 問 鼎 이규 2013.11.23 1957
386 改 閣 이규 2013.08.26 1949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