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8
어제:
1,186
전체:
764,737

한자 多岐亡羊

2014.06.09 21:01

yikyoo 조회 수:1711

多岐亡羊

많을

가닥나뉠

잃을

학문의 길은 멀고 멀음으로

진리를 찾기 어려움

春秋時代 楊子(孔子以後 孟子以前學者)의 이웃집 사람이 한마리를 잃었다. 그는 그 집 사람을 다 動員하고 또 楊子네 집 사람까지 하여 잃은 을 찾으러 나섰다. 그 때 楊子가 물었다.

한 마리의 을 찾는데 왜 그리 여러 사람이 나서는가?”

양이 逃亡친 쪽으로 岐路(갈림길)가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사람들이 돌아왔다.

을 찾았는가?”

못 찾았습니다.”

을 못 찾았는가?”

岐路가 있어 들어갔더니 또 岐路가 나옵니다(琦路之中又有岐路).” 그래서 우리들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할 수 없이 되돌아 왔지요.“

楊子는 그 말을 듣고는 우울한 얼굴로 말을 잊고 있었다. 弟子가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에 楊子는 한참만에 서서히 입을 열었다. “目的한 마리를 찾는 일인데, 갈림길 갈림길하고 헤메다가 결국 그것을 잃고 말았다. 學文의 길도 그와 같다. 眞理核心을 놓치고 마는 探究方法無意味하고 헛된 것임을 깨달았네.”

目標를 정하였으면 바른 길을 찾아야 함을 强調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66
163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67
162 妄 言 이규 2013.09.20 1869
161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69
160 破 格 이규 2013.10.07 1871
159 家 庭 이규 2013.07.25 1879
158 鴛 鴦 이규 2013.12.01 1880
157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84
156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86
155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86
154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87
153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88
152 瓦 解 이규 2013.08.18 1892
151 春困症 이규 2013.07.27 1893
15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96
149 中 國 이규 2013.09.03 1901
148 壓 卷 이규 2013.11.18 1905
147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906
146 選 良 이규 2013.08.07 1907
14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