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1
어제:
257
전체:
762,383

한자 娑 魚

2014.06.03 22:43

셀라비 조회 수:1654

娑 魚

너불거릴

고기

 

 

껍질이 모래처럼 거친 상어

 

 

물고기 이름에는 적지 않은 우리 이름이 있지만 漢字語도 많다. 예를들어 가물치뱀장어미꾸라지송사리피라미 등은 순우리말 이름이지만 개중에는 漢字로도 表現하는 수가 있다. 곧 미꾸라지를 추어(鰍魚)라고 하여 추어탕(鰍魚湯)이 있으며, 뱀장어는 만어(鰻魚)라고도 한다. 그래서 만유(鰻油)라면뱀장어 기름인 셈이다.

대체로 가 들어있는 單語漢字語라 할 수 있는데, 민어(民魚)송어(松魚)광어(廣魚)연어()방어()심지어 악어(鰐魚)도 그렇다. 물론 가 물고기의 模襲을 그린 象形文字라는 것쯤은 다 안다. 재미있는 것은 일부 漢字가 우리나라에 傳來되면서 獨特하게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國語學者가 아니라 正確分析은 어렵지만 한글 음가(音價)가 덧붙어 發音이 정착된 점이다. 예를 들어 붕어는 부어(浮魚)잉어는 이어(鯉魚)농어는 노어()表現된다. 물론. 상어도 마찬가지다. 漢字로는 사어(娑魚)라고 쓴다. 그것은 상어의 껍질이 마치 모래()처럼 거칠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래서 사시(娑翅)라면 상어의 지느러미가 돼 고급 中國料理에 속한다. 英語샥스핀(shark's fin)이 그것이다. 그 상어가 우리나라 西海出沒하여 사람을 물어 죽인 끔찍한 事件發生했다. 그것도 비슷한 場所에서 빈발(頻發)해 더욱 경각심(警覺心)을 일깨우고 있다. 마치 영화속의 조스가 현실로 나타난 것같은 느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712
283 非 理 이규 2013.09.26 1710
282 尋 常 셀라비 2013.12.18 1709
281 紅 塵 셀라비 2014.03.09 1707
280 詭 辯 이규 2013.09.14 1705
279 돌팔이 셀라비 2015.04.10 1704
278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04
277 朝 野 이규 2013.08.14 1700
276 杜鵑花 이규 2013.02.13 1700
275 秀 才 셀라비 2014.03.19 1699
274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697
273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696
272 物 色 이규 2013.11.05 1695
271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693
270 風塵 이규 2013.02.06 1692
269 嘗 糞 이규 2013.07.19 1689
268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687
267 痼 疾 이규 2013.11.07 1687
266 氷上人 이규 2013.08.23 1686
265 法 曹 이규 2013.08.13 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