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46
어제:
1,186
전체:
764,535

君子三樂

2013.04.23 21:24

이규 조회 수:1683


君임금군
子아들자
三셋삼
樂즐거울락

 

 君子의 세가지 즐거움


  尹東柱의 [序詩]에 보면 이런 句節이 나온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우리 祖上들은 하늘을 그야말로 ‘하늘’처럼 섬기며 살아왔다. 그런 ‘하늘’에 한 점 부끄럼도 없다면 그 사람은 純眞無垢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이 孟子에서 나왔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그는 歷代 聖人중 누구보다도 修養을 强調했던 사람이다.  그의 性善說도 이와 無關하지 않다.  그는 修養을 거쳐 쓸모있는 人才가 된 사람을 君子라고 했다.  곧 君子란 ‘人格과 修養을 갖춘 人才’, 지금 말로 하면 敎養, 知識 그리고 能力을 兼備한 知性人인 셈이다.
  그런데 그는 君子로서 지니는 세가지 즐거움이 있다고 했다.  첫째가 父母가 다 계시고 兄弟가 無故한 것{父母俱存, 兄弟無故}이며, 둘째가 우러러 보아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 보아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仰不愧於天, 俯不작於人}, 세째가 天下의 英才들을 모아 가르치는 것{得天下之英才而敎育之}이다.
  이를 보면 사람의 幸福은 世俗的인 名譽나 富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重要한 것은 두번째의 즐거움이다.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君子가 切實히 要求되는 요즈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21
32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43
322 淘 汰 이규 2013.05.28 1615
321 露 骨 이규 2013.05.29 1266
32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27
319 席 捲 이규 2013.05.31 1934
318 正 鵠 이규 2013.06.02 1598
3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98
316 出 馬 이규 2013.06.04 1571
315 蜂 起 이규 2013.06.05 1611
31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63
313 頭 角 이규 2013.06.07 1542
312 戰 國 이규 2013.06.09 1526
311 國 家 이규 2013.06.10 1457
3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25
309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98
30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09
307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54
306 誘 致 이규 2013.06.17 1622
305 迎 入 [1] 이규 2013.06.18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