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84
어제:
1,101
전체:
763,387

君子三樂

2013.04.23 21:24

이규 조회 수:1647


君임금군
子아들자
三셋삼
樂즐거울락

 

 君子의 세가지 즐거움


  尹東柱의 [序詩]에 보면 이런 句節이 나온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우리 祖上들은 하늘을 그야말로 ‘하늘’처럼 섬기며 살아왔다. 그런 ‘하늘’에 한 점 부끄럼도 없다면 그 사람은 純眞無垢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이 孟子에서 나왔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그는 歷代 聖人중 누구보다도 修養을 强調했던 사람이다.  그의 性善說도 이와 無關하지 않다.  그는 修養을 거쳐 쓸모있는 人才가 된 사람을 君子라고 했다.  곧 君子란 ‘人格과 修養을 갖춘 人才’, 지금 말로 하면 敎養, 知識 그리고 能力을 兼備한 知性人인 셈이다.
  그런데 그는 君子로서 지니는 세가지 즐거움이 있다고 했다.  첫째가 父母가 다 계시고 兄弟가 無故한 것{父母俱存, 兄弟無故}이며, 둘째가 우러러 보아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 보아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仰不愧於天, 俯不작於人}, 세째가 天下의 英才들을 모아 가르치는 것{得天下之英才而敎育之}이다.
  이를 보면 사람의 幸福은 世俗的인 名譽나 富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重要한 것은 두번째의 즐거움이다.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君子가 切實히 要求되는 요즈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審判 이규 2012.10.30 1847
143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847
142 歸 順 이규 2013.07.23 1851
141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51
140 猪 突 이규 2013.11.27 1852
139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858
138 幣 帛 이규 2013.10.13 1860
137 花 信 셀라비 2013.08.02 1872
136 櫛 比 이규 2013.08.08 1872
135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872
134 雲 集 이규 2013.08.09 1874
133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75
132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876
131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877
130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878
129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80
128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881
127 道 路 이규 2013.08.17 1884
126 國會 이규 2012.11.07 1885
125 奇蹟 이규 2012.12.06 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