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2
어제:
1,186
전체:
764,791

窺豹一斑

2013.04.14 18:09

이규 조회 수:1629

窺엿볼규
豹표범표
一한일
斑얼룩반


 우물안 개구리처럼 식견이 좁음

 

  붓 대롱으로 하늘을 본다라는 管窺(관규)가 있다.  窺豹一斑도 비슷한 境遇다.
  東晉의 王羲之는 中國의 書藝를 集大成한 人物로 ‘書聖’으로 불린다.  그에게는 많은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聰明한 아들은 獻之였다.  결국 그의 書藝는 王獻之에 이어져 世稱 ‘二王’으로 불린다.  獻之는 7살 때부터 書藝를 익혔는데 아버지 王羲之가 몰래 뒤꿈치를 잡아 당겨도 끄덕도 하지 않은 것을 보고 大成할 것을 알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가 어릴 때의 일이다.  아버지의 書藝 門下生들이 뜰에서 저포(樗蒲-일종의 도박 놀이)를 즐기고 있었다.  어깨 너머로 보고 있던 獻之가 갑자기 말했다.
  “南風不競이군!”  ‘南風’은 ‘陽子江 以南의 音樂’, ‘不競’은 ‘힘이 없다’는 뜻으로 南風不競은 ‘세력이 미미함’을 뜻한다.  그러자 지고 있던 門下生 하나가 應酬했다.
  “이 도련님 窺豹一斑하시는군.”  즉 표범의 무늬 하나만 보고 무슨 訓手냐는 빈정거림이었다.  하지만 王獻之도 지지 않고 대꾸했다.
  “유진장(劉眞長)에게 부끄러운 줄이나 아세요.”
  劉眞長은 賭博을 하면서도 환온(桓溫-晉 簡文帝 때 장군)의 反逆을 看破했던 人物이다. 그 門下生은 말문이 막혀 그만 옷을 훌훌 털고 일어나 가버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94
143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93
142 長蛇陣 이규 2013.02.03 1590
141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87
140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85
139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84
138 出 馬 이규 2013.06.04 1583
137 關 鍵 이규 2013.05.14 1582
136 刑罰 이규 2013.02.01 1582
135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80
134 秋霜 이규 2013.02.04 1579
133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74
132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73
131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71
130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68
129 瓦斯 이규 2013.02.12 1565
128 前 轍 이규 2013.06.24 1564
127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64
12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59
125 菽麥 이규 2013.02.02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