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7
어제:
783
전체:
770,087

沐浴

2013.04.08 21:58

이규 조회 수:2036

沐목욕할목
浴목욕할욕


 몸을 감는 것

 

  沐은 머리를,浴은 몸을 감는 것을 말한다.지금은 沐浴이 一般化되어 多樣한 沐浴湯이 있지만 옛날에는 기껏해야 냇가에 나가 멱을 감는 정도였다.
  中國 沐浴湯의 嚆矢는 東晋때 出現한 天子 專用의 焦龍池(초룡지)다.玉으로 쌓고 琥珀(호박)으로 水路를 냈으며, 비단 주머니에 香料를 담아 물에 담갔다.겨울에는 물을 데우기 위해 구리로 만든 龍을 숯불로 벌겋게 달구어 수십개나 湯안에 넣었다.그래서 焦龍池라고 했다.
 唐나라 貴族들은 沐浴湯을 가지고 있었다.白樂天의 『長恨歌』에 보면 楊貴妃가 華淸宮 溫泉에서 沐浴하는 場面이 나온다.宋나라 때에 비로소 公衆 沐浴湯과 함께 擦背(찰배)라고 하는 때밀이도 登場했다.蘇東坡가 즐겨 利用했다고 한다.
  우리의 境遇 일찍이 新羅때에는 沐浴齋戒(목욕재계)를 戒律로 하는 佛敎를 信奉했으므로 寺刹에는 大形 沐浴湯이 있었으며, 徐兢(서긍)이 쓴 『高麗圖經』에 의하면 高麗時代 開城의 냇가에는 男女가 한데 어울려 沐浴했다고 記錄되어있다.朝鮮時代로 오면 嚴格한 儒敎 禮節에 따라 女子들은 옷을 입은 채로 沐浴을 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國 家 이규 2013.06.10 1540
403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4
402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47
401 割據 셀라비 2012.11.09 1548
400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52
399 妥結 이규 2012.12.02 1554
398 封套 이규 2012.11.19 1555
397 兩立 이규 2012.12.13 1561
396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61
395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61
394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3
393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5
392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3
391 颱 風 이규 2013.07.12 1574
390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74
389 景福 셀라비 2012.10.31 1577
388 省墓 이규 2012.11.01 1578
387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79
386 民心 이규 2012.12.09 1580
385 跛行 이규 2013.03.18 1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