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3
어제:
289
전체:
769,350

覆巢無完卵

2013.04.05 11:12

홍석균 조회 수:3515


覆(엎어질 복)巢(새집 소)無(없을 무)完(완전할 완)卵(알 란)
엎어진 새집 속에 온전한 알이 남아 있을 수가 없다는 뜻으로, 근본이 잘못되면 나머지도 덩달아 잘못된다는 의미다.

후한 시대 말기의 사람 공융은 공자의 후손으로 지덕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헌제 때 북해 태수로 있으면서 학교를 많이 세워 학문을 크게 일으키고 백성을 잘 다스려 명망이 높았으며, 나중에는
조정에 들어가 대중대부의 벼슬을 살았다.
그 무렵 유비가 제갈양이란 걸출한 참모를 얻어 남쪽에서 급격히 세력을 키워 나가자, 조조는 더 늦기 전에 손을 
써야 한다는 주위의 권고를 받아들여 50만 대군을 일으켰다.
유비를 제거함과 아울러 형주와 강동을 한 손아귀에 넣겠다는 계산이었다.
이 때 공융이 조조를 찾아가 간곡히 만류했다.
"유비와 형주의 유표는 한실의 종친이므로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됩니다.
또한 강동의 손권 역시 여섯 고을을 장악하고 있고 세력이 막강해 섣불리 다룰 수가 없습니다.
지금 승상께서는 명분 없이 군사를 일으키려 하시니, 일이 잘못되기라도 하면 어쩌시렵니까?"
그 말을 들은 조조는 버럭 화를 냈다.
"유비와 유표, 손권 모두 천자의 명을 거역한 역적들인데, 그들을 토벌하는 것이 어째서 명분이 없다는 거요?"
이렇게 꾸짖어 쫓아 내고 앞으로 공융처럼 가타부타하는 자는 죽이겠다고 공표했다.
공융은 승상부를 나오며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다.
"어질지 못한 자가 어진 사람을 잡으려고 하니 이 노릇을 어쩔꼬!"
이 소리를 마침 어사대부 극려란 자가 듣고 말았는데, 극려는 항상 공융으로부터 소인배라고 업신여김을 받던터였기에
속으로 잘 됐다 싶어 한달음에 조조에게 달려가 고해바쳤다.
조조는 노발대발하여 즉시 공융을 잡아들이라고 명했다.
공융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다.
큰 아들은 9살, 작은 아들은 8살이었다.
이 때 아이들은 마침 집에서 바둑을 두고 있었는데, 공융의 체포 소식에 놀란 하인들이 달려와 피신하라고 재촉했으나
태연히 계속해서 바둑돌을 놓으며 말했다.
"새집이 엎어져 부서지는데 그 속의 알이 어떻게 성할 수 있겠느냐"
그 말이 떨어지기도 전에 조조의 병사들이 들이닥쳤고, 붙들려 간 두 아이는 아버지와 함께 목이 떨어지고 말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4589
2496 桑田碧海 홍석균 2013.06.10 4050
2495 날카로운 칼보다 무서운 것 이규 2013.06.11 3876
2494 타인의 은혜에 감사하라. 이규 2013.06.12 4013
2493 '나중에' 라는 고약한 말 [1] 이규 2013.06.13 3852
2492 塞翁之馬 [1] 홍석균 2013.06.13 3642
2491 내공은 하나를 실패할 때 마다 하나씩 쌓인다. [2] 이규 2013.06.14 3885
2490 현재에 만족하는 것이 가장 큰 적이다. 이규 2013.06.17 3683
2489 남을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 승리한다. 이규 2013.06.18 3775
2488 상처야말로 삶이 내게 준 가장 귀한 것 이규 2013.06.19 3797
2487 말하는 것보다 들을 때 영향력이 확대된다. 이규 2013.06.20 4014
2486 주면 줄수록 내가 더 행복해 진다. 이규 2013.06.21 3885
2485 西施嚬目 홍석균 2013.06.21 3983
2484 우환에 살고 안락에 죽는다. 이규 2013.06.24 4074
2483 답을 찾지 마라. 인생엔 정답이 없다. 이규 2013.06.25 3792
2482 너무 빨리 이루려 하지 마라. 이규 2013.06.26 3628
2481 자신의 운은 자신이 만든다. 이규 2013.06.27 4013
2480 사람들은 리더가 기대하는 만큼만 성과를 낸다. 이규 2013.06.28 3768
2479 우리는 받는 것이 아닌, 주는 것에서 기쁨을 느낀다. 이규 2013.07.01 3793
2478 목표와 장애물은 묶음 상품이다. 이규 2013.07.02 3945
2477 끝없이 배워도 부족하다. 이규 2013.07.03 3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