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3
어제:
257
전체:
762,465

拔苗助長

2013.04.04 22:17

이규 조회 수:1659

拔뺄발
苗싹묘
助도울조
長길장

 

 서두르다 오히려 일을 망침


  孟子가 강조한 것은 內面의 修養이었다.  天賦的인 선한 성품을 열심히 갈고 닦으면 누구나 聖人君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유명한 ‘性善說’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행동으로 실천해 보였다.  열심히 공부하고 수양한 결과 나이 마흔이 되어서는 일체 외부의 誘惑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었다고 한다.  마치 孔子가 誘惑에 빠지지 않았던 것처럼.  그래서 孔子의 不惑이나 孟子의 不動心은 모두 나이 ‘마흔’을 가리킨다.  그 不動心은 浩然之氣를 기름으로써 가능하지만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하면서 弟子 공손추(公孫丑)에게 다음과 같은 古事를 들려준다.
  옛날 宋나라의 어떤 어리석은 농부가 자기 논의 벼가 남들 것 보다 키가 작은 것같자 벼의 순을 모조리 뽑아 올려 놓았다.  키는 같아졌지만 벼가 하얗게 말라 죽었음은 물론이다.
  우리 속담에도 ‘아무리 바빠도 바늘 허리 꿰어 못쓴다’는 말이 있다.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다.  하물며 인간이 수양을 하는데 있어서랴.
  孔子도 비슷한 말을 했다.  “欲速不達(빨리 가려다 오히려 이르지 못한다).”  너무 서두르기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번쯤 음미해도 좋을 것 같다.
  拔苗助長은 줄여 助長이라고도 한다.  물론 좋은 뜻으로 쓰이지는 않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1994
403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994
402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88
401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985
400 持 滿 이규 2013.11.28 1984
399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82
398 千字文 이규 2013.10.12 1979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70
39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65
3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64
394 사리 셀라비 2015.04.18 1956
393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55
392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46
391 人 倫 이규 2013.07.29 1945
390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43
389 改 閣 이규 2013.08.26 1939
388 問 鼎 이규 2013.11.23 1939
387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38
386 苦 杯 이규 2013.08.03 1938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