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4
어제:
1,101
전체:
763,607

拔苗助長

2013.04.04 22:17

이규 조회 수:1700

拔뺄발
苗싹묘
助도울조
長길장

 

 서두르다 오히려 일을 망침


  孟子가 강조한 것은 內面의 修養이었다.  天賦的인 선한 성품을 열심히 갈고 닦으면 누구나 聖人君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유명한 ‘性善說’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행동으로 실천해 보였다.  열심히 공부하고 수양한 결과 나이 마흔이 되어서는 일체 외부의 誘惑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었다고 한다.  마치 孔子가 誘惑에 빠지지 않았던 것처럼.  그래서 孔子의 不惑이나 孟子의 不動心은 모두 나이 ‘마흔’을 가리킨다.  그 不動心은 浩然之氣를 기름으로써 가능하지만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하면서 弟子 공손추(公孫丑)에게 다음과 같은 古事를 들려준다.
  옛날 宋나라의 어떤 어리석은 농부가 자기 논의 벼가 남들 것 보다 키가 작은 것같자 벼의 순을 모조리 뽑아 올려 놓았다.  키는 같아졌지만 벼가 하얗게 말라 죽었음은 물론이다.
  우리 속담에도 ‘아무리 바빠도 바늘 허리 꿰어 못쓴다’는 말이 있다.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다.  하물며 인간이 수양을 하는데 있어서랴.
  孔子도 비슷한 말을 했다.  “欲速不達(빨리 가려다 오히려 이르지 못한다).”  너무 서두르기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번쯤 음미해도 좋을 것 같다.
  拔苗助長은 줄여 助長이라고도 한다.  물론 좋은 뜻으로 쓰이지는 않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黃 砂 이규 2013.07.18 1815
303 箴 言 이규 2013.10.19 1811
302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808
301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807
300 火 箭 이규 2013.08.20 1807
299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804
298 完璧 셀라비 2014.03.12 1804
297 天安門 이규 2013.09.22 1803
296 角 逐 셀라비 2013.11.14 1801
295 連理枝 LeeKyoo 2014.01.06 1796
294 貢 獻 이규 2013.11.16 1796
293 坐 礁 이규 2013.07.09 1792
292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790
291 紅 塵 셀라비 2014.03.09 1789
290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785
289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84
288 富 貴 셀라비 2014.06.16 1781
287 尋 常 셀라비 2013.12.18 1780
286 咫 尺 LeeKyoo 2013.12.15 1780
285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