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0
어제:
257
전체:
762,472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542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1996
403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995
402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89
401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988
400 持 滿 이규 2013.11.28 1986
399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84
398 千字文 이규 2013.10.12 1980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72
39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68
3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65
394 사리 셀라비 2015.04.18 1958
393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58
392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48
391 人 倫 이규 2013.07.29 1947
390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46
389 問 鼎 이규 2013.11.23 1944
388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43
387 苦 杯 이규 2013.08.03 1942
386 改 閣 이규 2013.08.26 1939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