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1
어제:
1,101
전체:
763,544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583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74
10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36
10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18
101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51
100 膺懲 이규 2013.02.18 1612
99 杜鵑花 이규 2013.02.13 1740
98 瓦斯 이규 2013.02.12 1532
97 獅子喉 이규 2013.02.12 1605
96 名分 이규 2013.02.11 1521
95 風塵 이규 2013.02.06 1747
94 寸志 이규 2013.02.06 1358
93 師表 이규 2013.02.04 1600
92 秋霜 이규 2013.02.04 1554
91 長蛇陣 이규 2013.02.03 1558
90 秋毫 이규 2013.02.03 1397
89 菽麥 이규 2013.02.02 1529
88 園頭幕 이규 2013.02.02 1364
87 洪水 이규 2013.02.02 1402
86 刑罰 이규 2013.02.01 1549
85 所聞 이규 2013.02.01 1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