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1
어제:
823
전체:
771,150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714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2032
343 猪 突 이규 2013.11.27 2031
342 奇蹟 이규 2012.12.06 2031
341 國會 이규 2012.11.07 2031
340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2030
339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2027
338 選 良 이규 2013.08.07 2027
337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024
336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2024
335 拍 車 셀라비 2013.12.19 2024
334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021
333 壓 卷 이규 2013.11.18 2019
332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2019
331 中 國 이규 2013.09.03 2017
33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2016
329 輓 歌 셀라비 2014.07.15 2009
328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2009
327 瓦 解 이규 2013.08.18 2009
326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2006
325 春困症 이규 2013.07.27 2003